티스토리 뷰


영화의 첫인상, 예고편의 중요성


영화를 보기 전에 가장 먼저 접하는 것은 바로 예고편(트레일러) 이다. 짧은 시간 동안 영화의 분위기와 핵심 내용을 전달해야 하므로, 예고편은 단순한 광고가 아니라 영화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흥행한 영화들의 예고편을 살펴보면 공통된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마블 영화는 빠른 편집과 강렬한 액션 장면을 강조하고, 공포 영화는 긴장감을 조성하는 소리와 느린 화면 전환을 활용한다.

그렇다면, 영화 예고편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단순히 영화 장면을 잘라 붙이는 것이 아니라, 전문 편집 기술과 심리적 요소가 결합된 정교한 작업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예고편 제작 과정과 흥미로운 비밀들을 살펴보자.


1. 예고편 제작 과정: 한 편의 영화 예고편이 나오기까지


1) 기획 및 콘셉트 설정

영화의 핵심 메시지를 전달할 테마(Theme) 를 정한다.

예고편의 목적(티저 vs 공식 트레일러 vs 최종 예고편)에 따라 편집 스타일을 결정한다.

타깃 관객층(청소년, 성인, 가족, SF 팬 등)을 고려하여 톤 & 스타일을 맞춘다.


> 예시: 로맨스 영화 → 감성적인 내레이션과 감미로운 OST
예시: 액션 영화 → 빠른 편집과 강렬한 사운드 효과



2) 주요 장면 선정

영화의 스토리를 완전히 스포일러하지 않으면서도, 관객의 흥미를 끌 장면을 선택해야 한다.

보통 영화의 초반 30분과 후반 30분 장면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미완성된 CG나 특수효과는 나중에 추가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


> 유명 사례:

어벤져스: 엔드게임 예고편에서는 주요 인물들의 생존 여부를 숨기기 위해 CG로 일부 캐릭터를 삭제했다.

인셉션 예고편에서는 영화의 핵심 개념(꿈속의 꿈)을 암시하는 장면만 편집하여 궁금증을 유발했다.




3) 편집 및 사운드 디자인

리드미컬한 컷 편집: 빠르고 강한 인상을 남기기 위해 장면 전환 속도를 조절한다.

사운드 효과(Whoosh, Boom, Hit Sound): 액션 장면이나 긴장감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음악(OST 및 클래식 음악 활용): 감정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 유명 사례:

다크 나이트(2008) 예고편에서 사용된 "브룸(BWAAAM!)" 소리는 이후 많은 SF/액션 영화에서 사용되며 유행이 되었다.

인터스텔라(2014) 예고편에서는 클라이맥스 부분에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특유의 서서히 고조되는 음악을 활용했다.




4) 내레이션 및 텍스트 추가

과거 예고편에는 나레이션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텍스트와 짧은 대사만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영화의 주제를 강조하는 한 줄 소개(예: "운명을 건 마지막 전투")가 중요하다.


> 유명 사례:

스타워즈 예고편에서는 "A long time ago in a galaxy far, far away..."라는 텍스트로 시작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했다.

테넷(Tenet) 예고편에서는 시간 역행이라는 개념을 강조하기 위해 "Time Runs Out"이라는 강렬한 문구를 삽입했다.




5) 최종 테스트 및 공개

예고편을 내부 테스트(Screening)하여 반응을 분석한다.

반응이 미흡하면 편집을 다시 하거나, 일부 장면을 수정하기도 한다.

유튜브, SNS, 극장 광고 등을 통해 공식적으로 공개한다.


2. 예고편의 종류와 특징


1) 티저 예고편 (Teaser Trailer)

영화 개봉 6개월1분)

스토리를 자세히 보여주지 않고, 분위기만 암시한다.


> 예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첫 티저에서는 타노스의 등장과 히어로들의 절망적인 표정만 보여줬다.

조커(2019) 티저 예고편은 호아킨 피닉스의 얼굴이 광대 분장으로 바뀌는 장면만 공개했다.




2) 공식 예고편 (Official Trailer)

영화 개봉 33분)

영화의 주요 설정과 캐릭터를 소개하며, 이야기의 흐름을 살짝 보여준다.


> 예시: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공식 예고편에서는 멀티버스 개념과 닥터 옥토퍼스의 등장까지 공개했다.




3) 최종 예고편 (Final Trailer)

영화 개봉 직전(1~2개월 전)에 공개되는 마지막 예고편

액션, 드라마, 감정적인 요소까지 총집합하여 최대한 관객의 기대감을 높인다.



3. 예고편 속 숨겨진 마케팅 전략


1) 미리보기 효과 (Preview Strategy)

영화 개봉 전에 유튜브 및 SNS를 통해 트레일러를 공개하여 입소문을 유도한다.

일부 영화는 예고편 자체를 "예고하는 티저" 를 먼저 공개하기도 한다.


> 예시:

배트맨 대 슈퍼맨(2016) 은 정식 트레일러가 공개되기 전, 10초짜리 짧은 클립을 공개하여 기대감을 높였다.




2) 미스터리 요소 활용

모든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일부 장면을 숨기거나 CG로 조작하여 궁금증을 유발한다.


> 예시:

마블 영화 예고편에서는 일부 캐릭터를 삭제하거나, 가짜 장면을 삽입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3) 팬들의 분석을 유도하는 힌트 삽입

예고편 속에 숨겨진 메시지나 이스터에그를 넣어 팬들이 직접 분석하게 만든다.


> 예시:

토르: 라그나로크 예고편에서 헐크가 등장하는 장면은 팬들에게 큰 화제가 되었다.

예고편도 하나의 독립적인 예술 작품


예고편은 단순한 광고 영상이 아니라, 영화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
관객의 감정을 자극하고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치밀한 전략이 담겨 있으며, 몇 분의 짧은 영상 속에도 영화 제작진의 수많은 고민과 창의적인 편집 기술이 숨어 있다.

다음에 영화 예고편을 볼 때는 단순히 재미있는 장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어떤 편집 기법과 마케팅 전략이 사용되었는지도 한 번 분석해보자. 예고편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이 생길 것이다!